아이들이 집 떠난 지 십수 년이 넘었다. 고등학교 졸업 후 딸 아이는 다른 주에 있는 기숙사에 들어가고 둘째는 학교가 멀지는 않았지만 무슨 핑계라도 대어 집을 떠나고 싶었던지 그 젊은 청춘은 짐을 싸서 뒤도 안 돌아보고 홀가분하게 갔다.
아이들은 점점 바빠졌고 내가 모르는 그들의 세계를 넓히고 있었다. 방학 때는 여행을 가기도 하고 어느 해는 일 년이 다 가도록 얼굴 한 번 보기 어려운 적도 있었다. 졸업 후 집과 먼 곳의 직장을 다니게 되면서 시간 내기는 더욱 자유롭지 못했다.
어느 순간부터 아이들이 집에 오면 손님처럼 느껴졌다. 처음 며칠은 반가웠으나 점점 각자의 집을 편하게 여기게 되었다. 차츰 오는 것이 뜸해지고 전화가 더 잦아졌다. 주로 아이들이 편리한 시간에 전화가 왔다. 내 첫 마디는 늘 “밥은 먹었니” 이다. 전화기 하나로 세계 각국 음식을 다 배달시킬 수 있고 게다가 둘째는 나보다 요리를 즐기는 아이인데 왜 그리 밥은 먹었나가 걱정이 되었는지 모른다.
아이들은 내게 왜 늘 밥 먹었냐고 묻는지 의아해했다. 먹는 일밖에 궁금한 것이 없냐고 말했다. 어련히 알아서 먹고 다니려니 하고 상관하지 말아야겠다고 다짐했다. 그런데도 나도 모르게 전화를 받을 때마다 물었다.
내가 아파서 며칠째 드러누워 있을 때 아이에게 전화가 왔다. 밥은 먹었는지 아이가 먼저 물었다. 밥을 챙길 정신도 먹을 힘도 없었다. 전화를 끊고 한 시간쯤 지났을 무렵 초인종 소리가 났다. 음식이 현관문 앞에 있었다. 아이가 우리 집 근처 식당에 주문하여 삼계탕과 닭죽과 전복죽을 보낸 것이다. 뚜껑을 열어보니 뜨끈뜨끈했다. 입맛이 없어 깔깔하던 속에 음식을 한 숟갈씩 억지로 떠 넣었다. 며칠 동안 끙끙 앓으며 끼니때마다 죽을 데워 먹었다.
그리고 일어났다. 아이들이 말없이 보내준 밥 덕분이었다. 염려의 말을 하지 않아도 그 밥 속에는 더 이상 아프지 말고 빨리 일어나라는 응원의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우리에게 밥은 끼니를 때우는 의미 만이 아니라 서로에게 할 말을 보듬고 있는 인사가 되었다.
밥은 마음을 표현하는 또 다른 언어이다. “식사하셨어요”는 단지 밥을 먹었는지가 궁금한 것은 아니다. 오늘은 별일 없는지, 아픈 곳은 없는지 안부를 묻는 말이다. 밥은 서로를 살뜰히 챙기며 애틋함을 감춘 도구이다. 헤어질 때 인사는 “언제 밥 한번 먹자” 이다. 언제일지는 모르지만, 다시 보고 싶다는 마음을 담은 표시이다. 따뜻한 밥 한 끼가 서로의 관계를 이어주고 삶의 위로와 힘이 된다.
때로는 어색하여 멈칫거리게 되는 순간에 맥락 없이 묻는 다정한 말, “밥은 먹었니”는 움츠러진 마음을 순식간 말랑하게 만드는 놀라운 힘이 있다. 고슴도치같이 바늘이 서 있던 시절, 밥 한 그릇으로 뜨끈하게 데워진 나는 조금 더 다정한 사람이 되었다. 속이 따뜻해지는 감각을 느끼며 밥값 하고 살아야겠다는 다짐을 하곤 한다. “밥 먹고 합시다” 는 또 얼마나 반갑고 뿌리칠 수 없는 유혹인가.
내가 아이에게 ‘밥은 먹었니’ 묻는 것은 단지 밥을 먹었는지가 궁금해서 그런 것만은 아니다. 잘살고 있는지, 걱정거리는 없는지, 아프지는 않은지, 묻는 말이다. 운전 조심해라, 옷 따뜻하게 입고 다녀라, 어두운 데서 스마트폰 보지 마라, 입안에서 뱅뱅 도는 잔소리를 삼키며 하는 말이다. 힘들면 언제든지 집에 와 밥 먹으라는 마음을 꾹꾹 눌러 담아 전하는 말이다.
“밥은 먹었니?”
<
박연실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