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트럼프 관세… 신차값 4,000달러 이상 치솟아

2025-08-28 (목) 12:00:00 박홍용 기자
크게 작게

▶ 25% 관세 땐 6,400불 부담
▶ 신차 5만·중고 3만불 넘어

▶ 중고차 가격까지 ‘들썩’
▶ 가능한 조기 구매 권고

트럼프 관세… 신차값 4,000달러 이상 치솟아

트럼프 행정부가 주요 교역국가와 관세 협상을 타결하고 있지만 신차 가격 상승세를 잠재우기는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다. 캘리포니아의 한 딜러샵 전경.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유럽연합(EU)과 일본 등 주요 교역국과 잇따라 관세 협상을 타결하며 자동차 시장의 부담 완화를 시도하고 있지만, 소비자들의 체감 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왔다. 관세 인하에도 불구하고 신차 가격이 계속 상승하는 가운데 중고차로 수요가 쏠리는 탓에 가격이 덩달아 오르면서 미국 자동차 시장 전반에 이중 부담이 가중되는 모습이다.

자동차 정보 플랫폼 카스닷컴은 27일 보고서에서 “백악관이 대형 수입업체들과 관세 협상을 체결하더라도 소비자들이 신차 구매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미국의 자동차 부문 관세는 대부분 지역에 대해 25%, EU 수출품에 대해서는 27.5%가 적용되고 있다. 최근 예비 협상을 통해 관세율을 15%로 낮추기로 합의했지만, 최종 타결까지는 갈 길이 멀고, 설령 낮아지더라도 가격 부담을 크게 줄이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실제 분석에 따르면 관세율이 현행 25%로 유지될 경우 신차 평균 가격은 기존 4만8,000달러에서 5만4,400달러로 약 13.5% 상승하게 된다. 이는 무려 6,400달러의 추가 부담이다. 만약 협상을 통해 관세율이 15% 수준으로 인하되더라도 가격은 약 8.1%(4,300달러)나 뛰어오를 수 있다는 전망이다. 트럼프 행정부 이전, 대부분 국가에서 자동차 수입품 관세율이 2.5%에 불과했던 점을 고려하면 소비자 입장에서 체감 충격은 클 수밖에 없다.


실제로 올해 2분기 동안 미국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관세 부담으로만 누적 117억달러의 이익 손실을 기록했다. 장기적으로 기업들이 이런 비용을 감당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결국 판매점과 소비자에게 고스란히 전가될 수밖에 없다.

애틀랜타 연방준비은행 자료에 따르면 지난 1년간 미국 가구 평균 소득은 1%(768달러) 늘어나는 데 그쳤다. 반면 신차 가격 상승률은 소득 증가율을 6~8배 웃돌았다. 가격이 소득보다 훨씬 빠르게 치솟으면서 미국 소비자들의 자동차 구매 부담은 갈수록 커지고 있다.

카스닷컴의 수석 분석가 데이비드 그린은 “저렴한 가격은 앞으로도 시장의 가장 큰 고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신차 평균 가격이 이미 5만2,000달러를 넘어선 상황에서 15% 관세까지 적용되면 많은 소비자들이 더 이상 신차를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제조업체들은 엔트리급 트림과 간소화 모델을 통해 저렴한 선택지를 내놓으며 수요층 이탈을 막으려 하고 있다. 실제로 테슬라조차 연방 전기차(EV) 세액공제가 오는 9월 말 종료를 앞두면서 올 가을에 보급형 모델 Y SUV를 출시할 계획이다.

그린은 “대부분의 소비자들은 시장 상황이 좋아서 차를 사는 게 아니라, 필요에 따라 구매한다”며 “가격이 올라도 차를 아예 사지 않기보다는, 더 저렴한 모델이나 중고차로 눈을 돌리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소비자들이 충격을 완화하기 위해 ▲관세 이전 재고 차량 조기 구매 ▲하위 트림 신모델 고려 ▲‘젊은’ 중고차(연식이 짧은 중고차) 탐색 ▲브랜드·차체·신차·중고차 선택지에 대한 개방적 태도 등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문제는 신차 가격 부담이 커지면서 그 대안으로 여겨졌던 중고차 시장마저 들썩이고 있다는 점이다. 월스트릿저널(WSJ)에 따르면 최근 3년 된 중고차 평균 가격이 3만달러를 돌파하며 팬데믹 시기 최고가에 근접했다.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 혼란이 여전히 시장을 짓누르고 있는 데다, 관세 정책 여파로 신차 가격이 계속 오르자 소비자 수요가 중고차로 쏠리고 있기 때문이다.

<박홍용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