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구주류 “표적 징계로 분란 유발”…친한계 “인적 쇄신 기회”

(서울=연합뉴스) 국민의힘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과 권성동 원내대표가 8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의원총회에 참석하고 있다. 2025.5.8
국민의힘이 8·22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무감사위가 25일(한국시간) 이른바 대선 후보 교체 시도를 이유로 구주류 핵심 인사에 대한 징계를 요구하면서 당내에서 인적 청산 논란이 재점화할 조짐이다.
윤희숙 혁신위원장이 구주류에 대한 인적 쇄신을 요구하고 당권 주자인 안철수 의원도 인적 청산을 주장하는 상황에서 당무감사위가 권영수·이양수 의원에 대해 당원권을 3년 정지시켜야 한다는 입장을 내놨다는 점에서다.
당장 징계 대상으로 지목된 권영세 전 비상대책위원장과 이양수 전 사무총장은 "수용할 수 없는 파당적 결정"이라며"며 당무감사위 결정에 반발했다.
구주류 핵심으로, 권 전 비대위원장과 함께 이른바 '쌍권' 중 한 명인 권성동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당무감사위의 오늘 발표는 자의적이고 편향된 결정이어서 대단히 유감"이라며 "자의적 해석을 넘어 초유의 어려움을 겪는 우리 당에 불필요한 짐만 더하는 처사"라고 비판했다.
권 의원은 "일부를 번제의 희생물로 삼는다고 해서 작금의 위기가 결코 해결되지 않는다"며 "저 역시 징계에 회부하라고 당무감사위에 요청한다. 표적 징계 역시 두려워하지 않겠다"고 말했다.
구주류로 분류되는 한 의원도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징계를 하려면 두사람뿐 아니라 당시 의총에 참석해 지도부를 지지했던 의원 약 60명과 비대위원들도 다 해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반문하며 "당무감사위가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내 분란만 키우고 있다"고 비판했다.
반대로 친한(친한동훈)계는 당무감사위의 결정을 존중하면서 이를 바탕으로 지지부진한 인적 쇄신에 고삐를 죄야 한다는 입장을 피력하고 있다.
친한계 한 의원은 연합뉴스 통화에서 "대선 패배를 불러온 두 가지가 계엄과 후보 교체 파동이기 때문에 충분히 할 수 있는 징계 수준"이라며 "총선 불출마가 될 정도의 징계로 가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 징계를 계기로 인적 쇄신 논의가 다시 불붙을 것"이라며 "지도부가 뭉개고 있지만, 다시 의총을 열어 인적 쇄신 방안을 논의하고 이번 기회에 정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른 친한계 의원은 "윤리위가 더 낮은 수준의 징계를 내리겠지만, 당무감사위가 옳은 결정을 했다"고 평가했다.
당무감사위의 징계 결정을 놓고 당권 주자 간 공방도 예상된다.
쇄신을 기치로 내세워 당권 도전에 나선 조경태·안철수 의원은 구주류를 향한 인적 청산 목소리를 키울 것으로 전망된다는 점에서다. 한동훈 전 대표의 불출마로 구심점을 잃은 친한계 표심을 확보하기 위해 더욱 강한 쇄신책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
안 의원의 경우 '쌍권'에 대한 인적 청산 요구를 당 지도부가 거부했다는 이유로 지난 7일 혁신위원장을 사퇴하고 당 대표가 돼 "직접 칼을 들겠다"며 전당대회 출마 선언을 하기도 했다.
윤희숙 혁신위원장도 지난 15일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과 송언석 비상대책위원장 겸 원내대표를 1차 인적 쇄신 대상으로 지목한 상태다.
다만 대선 당시 후보 교체 당사자였던 김문수 전 장관 후보 측은 당무감사위 결정에 거리를 두는 모습이다.
김 전 후보 측은 "후보 교체가 불법이라는 당무감사위 결정은 정당한 것"이라면서도 "당원권 정지 3년을 못 박으면서 당내 분란을 키운 것은 걱정스럽다. 단일대오를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내부 세력 싸움을 원하는 사람들이 이를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