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여파 가시화 분석
▶ 전월 대비로도 0.3%↑
▶ 주거비·의류 많이 올라
▶ 트럼프는 인하 또 요구

6월 소비자물가지수가 전월 대비 0.3%, 전년 동기 대비 2.7% 반등 상승하며 관세발 인플레이션 우려가 고조됐다. [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부과 여파로 6월 들어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반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반등 수준이 전문가 예상에 부합했고, 가격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하고 보면 상승률이 예상에 못 미쳐 시장을 안도하게 했다.
연방 노동부는 6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했다고 15일 밝혔다. 전월과 비교해선 0.3% 상승했다.
상승률이 5월(2.4%) 대비 반등하며 지난 2월(2.8%) 이후 가장 높았다. 다만, 전년 대비 및 전월 대비 상승률 모두 전문가 전망치에 부합했다.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제외한 근원 CPI는 전년 동월 대비 2.9%, 전월 대비 0.2% 각각 상승했다. 근원지수 상승률은 전년 대비 및 전월 대비 모두 각각 전문가 전망을 0.1%포인트 밑돌았다. 경제 전문가들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유발할 것이라고 그동안 우려해왔다. 대형 유통업체들도 관세 영향으로 소비자들이 직면하는 제품 가격이 오를 수 있다고 지속해서 경고해왔다.
연방준비제도(FRB·연준) 제롬 파월 의장은 지난달 24일 연방 의회 증언에서 관세의 물가 영향을 예측하기 어렵다면서도 6∼8월 경제에 의미 있는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다고 언급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2일 이른바 ‘해방의 날’이라며 전 세계 무역파트너에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바 있다. 이 가운데 10%의 기본관세가 곧바로 발효됐고, 국가별 개별 추가 관세는 당시 중국을 제외하고 90일간 유예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90일 유예기간이 끝나자 한국, 일본, 유럽연합(EU), 멕시코, 캐나다 등 주요 무역 파트너에 새로운 관세율을 통보하고, 내달 1일부터 상호관세를 부과한다는 내용의 서한을 발송해, 사실상 관세 부과 유예를 연장하면서도 관세 위협을 강화하고 있다.
관세에 민감한 의류 가격이 6월 들어 전월 대비 0.4% 올랐고, 가정용 가구 가격은 전월 대비 1%나 올랐다. 다만, 신차 가격이 전월 대비 0.3% 하락했고, 중고차 및 트럭 가격은 전월 대비 0.7%나 하락해 전체 물가지수 상승을 제약했다. 주거비는 전월 대비 0.2% 올라 단일 항목 중 전체 소비자물가지수 상승에 가장 크게 기여했다고 노동부는 설명했다.
한편 6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깜짝 반등’ 없이 예상 수준에 머물면서 금융시장도 안도하는 분위기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4.41%로 전장 대비 2bp(1bp=0.01%포인트) 하락했다. S&P 500 지수 선물은 같은 시간 전장 대비 25.25포인트(0.40%) 오른 6,336.25를 나타냈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은 “오늘 물가지표로 트럼프 행정부는 의심할 여지 없이 이달부터라도 금리를 인하하라고 연준에 압력을 강화할 것”이라며 “다만, 금리 인하 사이클을 재개하기 위한 기준을 명시해온 다수의 연준 위원을 설득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라고 말했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전월 대비 반등했다는 발표가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이날 연준을 향해 기준금리 인하를 촉구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소셜미디어(SNS) 트루스소셜에 올린 글에서 “소비자 물가는 낮다. 당장 연준 금리를 내리라”라고 주장했다.
백악관도 이날 6월 CPI 발표 직후 “트럼프 대통령 아래 인플레이션은 목표 범위 내에서 유지되고 있다”는 제목의 보도자료를 냈다.
<연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