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세 합의 후 한 주 새 컨테이너 예약 두배…운임도 10%↑
▶ 관세·경기 불확실성 속 30% 관세 ‘부담’…전문가 “물동량 지속 반등 회의적”
미국과 중국이 90일간의 관세전쟁 휴전에 합의한 이후 중국산 제품을 미국으로 실어올 컨테이너를 찾기 위해 업체들이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5일 보도했다.
다만, 무역정책 및 경제 불확실성이 여전한 상황에서 관세 유예 기간 업체들이 중국산 제품 주문량을 다시 늘리는 데는 한계가 있을 것이란 분석이 나온다.
WSJ이 인용한 공급망 데이터 수집업체 비지온(Vizion) 통계에 따르면 미중 양국이 상대국에 부과한 관세를 대폭 인하하기로 합의한 지난 12일 이후 첫 주간 중국발 미주노선 컨테이너 예약은 229만 TEU(1TEU=20피트 컨테이너 1개)로, 직전 주(91만) 대비 두 배 이상으로 급증했다.
다만, 한 주 뒤 컨테이너 예약량은 137만 TEU로 다시 내려앉은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해운사들이 미중 관세전쟁 격화 이후 중국발 미주 노선 운항을 감축하면서 컨테이너선 선복량(적재 공간)이 부족한 상황이 됐다고 설명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에 총 145%의 관세를 부과하고 미중 간 관세 협상이 단시일에 원만한 타결점을 찾기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나오면서 해운사들이 중국발 미주 노선의 선박을 다른 노선으로 전환한 탓이다.
일부 해운사는 중국발 미주 노선에 투입했던 초대형 컨테이너선을 작은 선박으로 교체하거나 아예 노선 운항을 취소하기도 했다고 WSJ은 해운업계 관계자를 인용해 전했다.
선복량이 부족해지다 보니 컨테이너 운임은 빠르게 오르고 있다.
상하이해운거래소(SSE) 자료를 보면, 중국에서 미국 서부로 가는 40피트 컨테이너 운임은 5월 12일 관세 합의 발표 후 한 주 만에 직전 주 대비 10% 뛰었다.
한 아시아 지역 물류 업계 임원은 다른 노선에 투입했던 선박을 복귀시키는 데 몇 주일이 걸릴 수 있다며 "향후 90일은 상당히 혼란스러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다만, 선복량 부족 문제가 해결된다고 하더라도 중국산 제품 주문량의 '깜짝 반등'이 지속해서 이어지기는 어려울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관세 정책의 불확실성이 여전히 큰 데다 미국의 소비심리가 급속히 악화한 상황에서 신규 주문을 크게 늘리는 데 업체들이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탓이다.
많은 업종의 경우 신규 주문 후 제품을 인도받기까지에는 90일간의 유예 기간이 너무 짧기 때문에 주문 확대로 이어지기는 한계가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산 수입품 관세율을 145%에서 30%로 잠정적으로 낮추긴 했지만, 이 역시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점도 전문가들이 물동량 회복을 낙관하지 않는 이유 중 하나다.
중국에 제조공장을 둔 프랭클린WH 에너지 스토리지의 빈센트 앰브로스 최고상업책임자(CCO)는 제조와 배송에 통상 12주가 걸린다며 "많은 제품을 급히 들여올 기회는 사실상 없다고 보면 된다"라고 말했다.
세계 최대 해운 선주단체인 빔코(BIMCO)의 닐스 라스무센 수석 애널리스트는 "관세 유예가 있다고 해서 그게 갑자기 물동량 급증으로 이어질지는 의문"이라고 분석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