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뉴욕증시, 재료 폭탄에 극도의 변동성…강세 마감

2025-05-07 (수) 02:47:53
크게 작게
뉴욕증시의 3대 주가지수가 극도의 변동성을 보인 끝에 강세로 마감했다.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기준금리를 동결한 가운데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고 제롬 파월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올해 금리인하가 불확실하다고 밝히면서 투자 심리는 약해졌다.

그러나 장 막판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인공지능(AI) 칩 관련 규제를 폐지하기로 했다는 소식에 매수세가 집중되면서 주가는 반등했다.


7일(미국 동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284.97포인트(0.70%) 오른 41,113.97에 거래를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는 전장보다 24.37포인트(0.43%) 상승한 5,631.28, 나스닥종합지수는 48.50포인트(0.27%) 오른 17,738.16에 장을 마쳤다.

주요 주가지수는 미·중 무역협상 기대감과 FOMC 회의, 파월 기자회견, AI 칩 규제 폐지라는 소식을 거치면서 극도의 변동성을 보였다.

개장 전 아시아 시장에서 투심을 지탱한 것은 미국과 중국이 무역협상을 시작한다는 소식이었다.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은 이번 주 토요일 스위스에서 중국 측 경제 사령탑인 허리펑 국무원 부총리와 회담을 갖는다고 이날 밝혔다. 미국무역대표부(USTR)도 제이미슨 그리어 대표가 스위스에서 중국 측을 만나 무역 현안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미·중 무역협상이 비로소 시작될 것이라는 기대감에 아시아 시장에서 주가지수 선물은 급등했다.

하지만 베선트가 이번 회담에 대해 미·중 협상이 진전됐다고 볼 순 없다고 밝히면서 기대감은 약해졌다.


오후 들어선 FOMC 회의 결과와 파월 발언에 투심이 출렁거렸다.

FOMC는 이날 성명에서 실업과 인플레이션이 더 오를 위험이 커졌다는 문구를 추가했다. 이에 대해 시장은 스태그플레이션 우려가 커졌다고 해석하며 매도 우위로 돌아섰다.

JP모건자산운용의 데이비드 켈리 수석 글로벌 전략가는 "이번 연준 성명은 행정부를 향한 일종의 경고 신호"라며 "행간을 읽어 보면 정부 정책이 인플레이션과 실업률 상승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의미"라고 분석했다.

파월의 기자회견도 매파적으로 해석됐다.

파월은 "'당분간' 명확성이 커질 때까지 기다릴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올해 금리인하가 있을지 확실히 답할 수 없다고 발언하기도 했다.

이 같은 발언은 적어도 상반기에는 금리인하가 없을 것이라는 발언으로 해석되면서 실망 매물을 유도했다.

골드만삭스자산운용의 애시시 샤 전략가는 "연준은 관세가 경제에 미칠 영향을 둘러싼 불확실성 속에서 '대기 모드'에 있다"며 "6월 회의에서는 현재 금리 수준을 유지할 가능성이 크다"고 분석했다.

다만 장 막판 매수 심리를 강하게 자극하는 소식이 나오면서 주가는 급반등했다.

주요 외신은 조 바이든 전임 행정부에 도입됐던 AI 칩 규제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폐지하기로 했다고 보도했다. 이는 AI 산업에 호재라는 분석이 나오면서 S&P500 지수는 30분 사이에 40포인트나 급등했다.

이번 조치는 AI 칩 수출 통제가 완화하는 조치로 해석될 수 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는 반도체 수출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는 새로운 규정을 마련 중인 만큼 이번 조치의 장기적 영향은 지켜봐야 한다.

업종별로는 소재와 부동산, 통신서비스를 제외한 모든 업종이 올랐다. 임의소비재는 1% 이상 상승했다.

AI 칩 규제가 폐지될 것이라는 소식에 필라델피아 반도체지수는 1.74% 오르며 반색했다.

엔비디아가 3.1% 올랐고 브로드컴과 ASML, 퀄컴도 3% 안팎으로 올랐다.

거대 기술기업 중에선 아마존과 메타플랫폼스가 2% 안팎으로 상승했고 마이크로소프트도 강보합이었다. 반면 애플은 1% 이상 떨어졌다.

구글의 모회사인 알파벳이 7% 이상 급락한 점이 눈에 띄었다.

AI 검색 엔진이 결국 구글 같은 표준 검색 엔진을 대체할 것이라고 애플의 에디 큐 서비스 부문 총괄이 전망한 점이 악영향을 줬다는 분석이 나온다. 큐는 미국 법무부가 알파벳을 상대로 제기한 소송에서 이같이 증언했다.

월트디즈니는 시장 예상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하면서 주가가 10% 넘게 급등했다.

우버는 올해 1분기 매출이 시장 기대를 밑돈 여파로 주가가 2% 이상 내렸다. 한때 낙폭은 6.65%까지 벌어지기도 했다.

AMD는 1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돈 가운데 AI 칩 규제가 폐지될 것이라는 기대로 1% 상승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툴에 따르면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에서 6월 기준금리가 동결될 확률은 76.7%로 반영됐다. '6월 동결론'이 대세로 자리 잡는 흐름이다.

이번 FOMC가 끝난 뒤 올해 연말까지 기준금리가 25bp씩 3회 인하될 것이라는 전망은 38.3%로 가장 커졌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 변동성 지수(VIX)는 전장보다 1.21포인트(4.89%) 밀린 23.55를 가리켰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