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룸버그 “관세로 인한 대폭적 이익감소 우려 상당 부분 불식”

마이크로소프트 로고 [로이터]
애플과 마이크로소프트(MS) 등 빅테크가 1∼3월 실적을 발표한 가운데 '최악의 시나리오' 우려를 딛고 선방했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4일 평가했다.
통신은 지난주까지 발표한 실적 보고서에서 이들 기업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정책에도 여전히 강한 전망을 내놓으면서 미국 대형 기술주에 투자하는 투자자들이 안도하고 있다고 전했다.
애플처럼 다소 실망스러운 발표도 있었지만, 이들 주요 기업은 전자기기, 클라우드 컴퓨팅, 소프트웨어, 디지털 광고 등 핵심 사업 분야에 대한 수요가 여전히 건재하다는 예측을 하면서 관세 정책으로 인해 이익이 크게 줄어들 것이라는 우려를 상당 부분 불식시켰다는 것이다.
이들 기업의 1∼3월 실적은 모두 시장의 예상치를 넘었고, 관세가 본격적인 영향권에 있는 4∼6월 실적도 크게 나쁘지 않았다.
애플과 구글이 실적 전망치를 발표하지 않는 가운데 마이크로소프트(MS)는 애저 클라우드 사업의 강력한 수요로 전망치를 상회하는 매출 전망을 제시했다.
아마존은 순이익 전망이 다소 약했지만 앤디 재시 최고경영자(CEO)는 "아직 수요 약화는 보이지 않는다"고 밝혔다.
메타는 디지털 광고 시장에 대한 전망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유지했고, 올해 자본 지출 전망도 상향 조정했다.
또 AI 컴퓨팅 장비에 대한 자본 지출이 둔화할 수 있다는 우려도 완화하면서 엔비디아 등 반도체 기업 매출에 대한 기대로도 이어졌다.
MS의 애저 클라우드 매출은 1년 전보다 33% 증가했고, 구글과 아마존의 클라우드 성장률도 28%와 17%에 달했다.
엔비디아는 이달 말 실적을 발표한다.
투자회사 재니 몽고메리 스콧의 수석 투자 전략가 마크 루시니는 "많은 투자자가 비관적인 실적 발표를 예상했지만, 일부 실적이 다소 약해도 '최악의 시나리오'는 아니었다"며 "이번 발표는 상황은 여전히 불확실하지만 시장이 긍정적인 시각을 유지할 수 있도록 했다"고 말했다.
가벨리 펀드의 포트폴리오 매니저 한나 하워드도 "기술 기업들이 수익성과 성장을 보여주면서 더 많은 투자 여력을 확보하고 있다"며 "더 큰 실적 약세가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컸지만, 실제 결과는 기대 이상이었다"고 평가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다만, 실제 관세가 적용된 이후 이들 기업이 어떻게 실적을 냈는지는 다음 실적 시즌이 돼야 확실히 드러난다고 지적하고 무역 전쟁이 지속하면서 뉴욕 증시에서 기술주를 둘러싼 변동성 가능성은 여전히 존재한다고 진단했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