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4월 고용 ‘트럼프 관세’ 시행에도 호조…17만7천명 증가

2025-05-02 (금) 10:48:38
크게 작게

▶ 증가 폭 최근 1년 평균 웃돌아…실업률 4.2% 유지·경제활동참가율 소폭 상승

▶ 침체 우려 불구 노동시장 굳건…전문가 “미 경제 회복력 반영”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경기 침체를 가져올 것이란 우려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미국의 일자리가 양호한 증가세를 나타냈다.

미 노동부는 4월 미국의 비농업 일자리가 전월 대비 17만7천명 증가했다고 2일 밝혔다.

최근 12개월 평균 증가 폭(15만2천명)을 웃도는 데다 다우존스가 집계한 전문가 전망치(13만3천명)도 크게 상회했다.


지난 2월 고용 증가 폭은 10만2천명으로 1만5천명 하향 조정됐고, '깜짝 증가'를 보였던 3월 증가 폭은 18만5천명으로 4만3천명 하향 조정됐다. 2∼3월 하향 조정 폭은 종전 발표 대비 5만8천명에 달했다.

의료(5만1천명), 운수·창고(2만9천명), 금융 활동(1만4천명), 사회지원(8천명) 부문이 4월 고용 증가를 주도했다.

연방정부 고용은 9천명 감소해 정부효율부(DOGE)가 주도한 공공영역의 인력 구조조정을 반영했다.

또 지난 1월 이후 연방정부 고용 감소 폭은 2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노동부는 이 같은 수치에 대해 "유급 휴가 중이거나 퇴직수당을 지속해서 받고 있는 직원들도 취업자로 집계된다"라고 설명했다.

시간당 평균임금은 전월 대비 0.2% 올라 3월 상승률(0.3%) 대비 둔화했다. 전년 동기 대비 임금 상승률은 3.8%였다.

임금 상승률은 전월 대비 및 전년 대비 모두 전문가 전망보다 각각 0.1%포인트 낮았다.


임금 상승률 둔화는 임금 상승발 물가 상승 압력 우려가 약화했음을 시사한다.

한편 4월 실업률은 4.2%로 전월 대비 변동이 없었고, 전문가 예상에도 부합했다.

4월 경제활동참가율은 62.6%로 전월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

이날 발표된 4월 비농업 고용 지표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정책이 시행된 후 첫 공식 실물경제 통계라는 점에서 월가의 관심이 주목돼왔다.

트럼프 대통령이 발효한 10%의 기본관세는 4월 5일 발효됐고, 9일 발효됐던 국가별 개별 상호관세는 90일간 유예됐지만 중국에 대해서는 총 145%의 관세가 유지되고 있다.

평균 수준을 웃도는 고용 증가와 실업률 유지는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정책에도 불구하고 미국의 노동시장이 4월 들어서도 여전히 탄탄한 상태를 지속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날 고용지표 발표 직후 주식은 강세를 나타내고, 채권 금리는 상승했다.

정규장 개장 직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 선물은 전장 대비 1%대 상승세를 보였다.

전자거래 플랫폼 트레이드웹에 따르면 10년 만기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오전 9시 18분 기준 4.30%로 전날 뉴욕증시 마감 무렵 대비 9bp(1bp=0.01%포인트) 올랐다.

금리 선물시장은 고용보고서 발표 직후 6월 통화정책 회의에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기준금리를 동결할 확률을 전날 41.8%에서 60%로 높였다.

모하메드 엘-에리언 알리안츠그룹 고문은 "많은 이들이 이번 지표를 두고 '과거의 일'이라고 일축하겠지만, 이번 수치는 불확실한 시기에 접어들면서도 미국 경제가 회복력이 있음을 시사한다"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