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력하고 공정한 합의 만들 것”…이란 핵 검증 대상서 미사일도 언급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로이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핵시설에 대한 공격 가능성까지 거론하면서 이란에 핵 협상을 압박하는 가운데 협상 대표인 미국의 중동특사가 이란에 대한 저농축 허용 가능성을 언급했다가 15일 번복했다.
스티브 위트코프 중동 특사는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게재한 입장문에서 "이란과의 협상은 그것이 트럼프식 협상일 때만 완료될 것"이라면서 "이란은 핵농축 및 무기화 프로그램을 반드시 중단하고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전세계를 위해 지속될 수 있는 강력하고 공정한 합의를 만드는 것이 필수"라면서 "그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내게 요청한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위트코프 특사는 전날 밤 방영된 폭스뉴스와 인터뷰에서는 이란과의 핵협상 목표로 핵 프로그램 전면 폐기가 아닌 우라늄 농축 제한을 제시해 미국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그는 인터뷰에서 "이란과의 대화는 2개의 핵심포인트에 대한 것"이라면서 "하나는 농축에 대한 것으로, 그들은 3.67%를 넘겨 (우라늄을) 농축할 필요가 없다"고 밝혔다.
그는 협상의 두 번째 포인트에 대해 "농축프로그램과 무기화에 대한 검증"이라면서 "여기에는 그들이 비축하고 있는 미사일, 폭탄 기폭 장치 등이 포함된다"고 밝혔다.
위트코프의 특사가 언급한 농축률 3.67%는 트럼프 대통령이 1기 때 폐기했던 오바마 정부 주도의 '이란 핵 합의(JCPOA·포괄적 공동행동계획)'상의 농축 제한과 같다.
이란은 트럼프 대통령의 JCPOA 파기 이후 우라늄 농축률을 높이기 시작했다.
위크코프 특사의 농축제한 언급은 베냐민 네타냐후 총리를 비롯해 이스라엘의 강경파가 추구하는 이른바 '리비아식 합의'와는 거리가 있다.
리비아식 비핵화 모델은 핵 개발에 필요한 물질과 장비, 자료 등을 넘기고 비핵화 검증 뒤 보상하는 방식이다.
네타냐후 총리는 트럼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한 다음 날인 지난 8일 영상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란이 핵무기를 보유하지 않을 것이라는 데에 동의한다"며 "이는 리비아 방식 합의를 통해야만 한다"고 거듭 말했다.
그는 리비아 방식과 관련, "미국의 감독과 실행으로 모든 시설을 폭파하고 모든 장비를 해체한다는 것"이라고 밝혔다.
위트코프 특사측과 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NSC)는 위트코프 특사의 발언이 바뀐 이유에 대해 답변하지 않았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에 대해 "핵무기를 절대 가질 수 없다"는 점을 반복하면서 핵 협상을 강도 높게 압박하고 있다.
그는 전날에도 이란의 핵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선택지에 이란의 핵시설에 대한 군사적 타격도 포함되는지를 묻는 말에 "물론 그렇다"라면서 "만약 우리가 뭔가 거칠게 해야 한다면 우리는 그렇게 할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구체적인 협상 목표를 공개적으로 언급한 바는 없다.
위트코프 특사 등 미측 대표단은 지난 12일 오만에서 이란 측과 만났으며 19일 이탈리아 로마에서 다시 만날 예정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