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탈화석은커녕 동해 석유전 개발”…한국 기후대응 비산유국 꼴찌
2024-11-27 (수) 12:00:00
최나실·김현종 기자
▶ 올해에도 ‘오늘의 화석상’
▶ 온실가스 감축 목표 필요
전 지구적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제29차 유엔기후총회가 24일(현지시간) 폐막한 가운데 한국은 지난해에 이어 올해 총회에서도 ‘오늘의 화석상’을 수상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번 총회에서 한국이 전력망 확충, 메탄 감축 서약에 동참하는 등 진전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역량에 비해 노력이 부족하다”는 국제사회의 평가는 매섭다. 이에 내년에 제출해야 하는 ‘2035년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통해 확실한 탈탄소 의지를 보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아제르바이잔 수도 바쿠에서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9)가 한창이던 지난 18일 세계 기후환경단체 연대체 ‘기후행동네트워크’는 한국에 ‘오늘의 화석상 1위’를 수여했다. 한국이 매년 100억 달러 규모의 막대한 공적금융을 화석연료 산업에 투자해 ‘탈탄소’를 방해한다는 게 수상 배경이다. 기후행동네트워크는 “BTS나 삼성, 코리안 바비큐가 한국을 트렌드 선도국으로 만들지 몰라도 화석연료 금융에서 한국은 여전히 과거에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 COP28 때는 같은 상 3위에 올랐는데 올해는 더 심각한 평가를 받은 것이다.
독일 비영리연구소 저먼워치와 뉴클라이밋연구소 등이 함께 발간하는 세계 64개국의 기후변화 대응 성적표 ‘기후변화대응지수(CCPI)’에서도 한국은 63위로 낙제점을 면하지 못했다. ‘1.5도’ 목표를 제대로 이행하는 나라가 아직 없다는 점에서 1~3위는 공란에 공식 순위가 4위부터 시작인데, 한국보다 뒤처진 나라는 산유국들이었다. 즉 한국은 비산유국 중 기후대응 꼴찌인 셈이다. 보고서는 파리협정에 부합하지 않는 NDC, 탈화석연료는커녕 도리어 동해 석유가스전을 신규로 개발하겠다는 계획 등을 주요 문제점으로 꼽았다.
<
최나실·김현종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