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송전선로 철탑 건설만으론 한계… 도로·철도부지 활용을”

2024-09-12 (목) 배상윤 기자
크게 작게

▶ 송전선로 패러다임 전환 목소리

산업단지 같은 전력수요 지역에 송전망 확충이 늦어지면서 차량용 도로와 철도 부지를 활용해 송전선로를 확대해야 한다는 제안에 힘이 실리고 있다. 기존 교통망을 활용해 별도의 부지를 확보할 필요가 없고 주민들의 반대를 뛰어넘을 수 있기 때문이다.

8일 안홍섭 한국건설안전학회장(군산대 건축학과 교수)의 ‘송전선로 건설의 패러다임 전환’ 보고서에 따르면 철탑 형태로 송전선로를 건설하는 방식은 낮은 사회적 수용성과 자연재해 등에 대한 우려로 한계에 직면해 있다.

이 때문에 대안으로 거론되는 방안이 철도와 도로를 활용하는 것이다. 철도는 철도안전법 45조에 따라 철도 좌우 30m가 철도보호지구로 지정돼 있다. 철도와 도로 좌·우측에 송전선로를 매설하면 된다는 게 안 회장의 생각이다. 그는 “철도나 도로 옆 인접 부지를 사용하면 추가 재원을 최대한 줄일 수 있고 주민 반대도 크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정부 역시 해당 방안에 동의하고 있다. 산업통상자원부의 한 관계자는 “간선도로 등 교통 인프라망 건설에 맞춰 송전선로 매설도 고려할 수 있게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며 “도로 건설 시점에 송전선로를 함께 매설하면 주민 동의를 추가로 얻지 않아도 돼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 경우에도 비용 문제는 여전히 풀어야 할 과제로 꼽힌다. 한국전력의 한 관계자는 “주민 수용성 문제는 줄일 수 있겠지만 지중화 작업에 따른 비용과 시간이 무시할 수 없는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기존 송전망의 용량을 늘릴 필요가 있다는 분석 또한 나온다. 조환익 전 한전 사장은 현행 송전망의 용량을 늘려도 정전 가능성 같은 위험성이 크지 않다는 입장이다. 그는 인공지능(AI)·전기화 시대에 송전 용량을 늘렸을 때 정전 위험성이 얼마나 커지는지 기술적으로 따져보고 경제적·사회적 득실을 따져서 특정 시간에 한해 송전 용량을 늘리는 방법을 검토해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배상윤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