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北 ‘정치적 계기’마다 도발…美 대선 전후 강행 가능성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이 다시 관심사로 부각하고 있다.
특히 오는 11월 미국 대선 전후로 북한이 도발을 감행할 것이라는 관측이 이어지고 있는 형국이다.
사브리나 싱 미국 국방부 부대변인은 지난 2일 브리핑에서 미국 당국이 북한 동향을 "계속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신원식 국방장관도 지난달 29일 블룸버그통신 인터뷰에서 "북한은 결단만 내리면 가능하도록 핵실험 준비를 마친 상태"라면서 "미국과의 협상력을 높이기 위해 이 결정이 미국 대선을 전후해 이뤄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북한은 1990년대 비밀리에 핵개발에 착수한 이후 주요 정치적 계기마다 핵실험을 포함한 무력 도발을 협상 지렛대로 삼는 전략을 구사해 왔다.
북한의 7차 핵실험 가능성은 지난해부터 국제 외교가의 현안이었다.
데이비드 올브라이트 미국 과학국제안보연구소(ISIS) 소장은 지난 3월 미국의소리(VOA) 방송과의 통화에서 "북한이 핵실험장을 유지하고 실험을 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 다만 정치적 혹은 일부 기술적 이유로 7차 핵실험을 유보하고 있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여기서 언급한 '정치적 이유'로는 중국 변수를 의미하는 것으로 인식됐다.
실제로 지난해 12월 영국 일간 더 타임스는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전문가들은 김정은에게 가장 영향력이 큰 인물인 시진핑 국가주석의 압력 때문이라고 추정한다. 국경 폐쇄 권한을 가진 중국이 당분간은 넘을 수 없는 선을 그어놨다"고 보도했다.
중국이 국제질서의 흐름을 감안해 북한의 추가 핵실험을 막고 있었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미국 대선을 앞두고 존재감을 드러내야 하는 북한 입장에서 더 이상 중국을 의식하지 않을 것이라는 관측이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다.
특히 집권 1기 시절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특별한 관계를 가졌던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이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를 상정해 북한이 핵실험 강행이라는 카드를 꺼낼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보고 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은 최근 각종 유세에서 김 위원장과의 과거 협상 경험을 거론하며 이번 대선에서 승리할 경우 김 위원장과 관계 개선이나 협상을 재개할 가능성을 시사해왔다.
만일 북한이 7차 핵실험을 한다면 소형화된 전술핵무기 실험이 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다. 북한은 이미 전술핵탄두 '화산-31'을 공개했는데, 그 직경이 40∼50㎝로 추정된다.
북한이 공개한 전술핵탄두의 실제 위협 정도는 아직 정밀하게 분석되지 않았 지만, 북한 주장대로 실제 작동한다면 이는 고체연료 추진 단거리탄도미사일(SRBM)을 포함해 한국을 겨냥한 다양한 무기체계에 핵탄두를 실을 수 있게 된다.
미국 대선이라는 정치적 계기에 북한이 7차 핵실험을 감행할 가능성과 함께 소형화된 전술핵무기 실험이라는 새로운 위협에 관심이 집중되는 형국이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