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규제 피하자”… 중국 기업, 싱가포르 기업으로 국적세탁

2024-07-03 (수) 서울경제=정혜진 기자
크게 작게

▶ “싱가포르선 엔비디아 칩 확보”
▶미 고강도 규제에 본사 엑시트

▶ 중 데이터보호법 등 부담 가중
▶반간첩법에 해외 돈줄도 말라

미국이 대(對)중국 첨단 칩·기술 제재를 강화하자 중국의 인공지능(AI) 스타트업들이 중국 기업 이미지를 탈피하고자 싱가포르로 국적을 옮기는 이른바 ‘싱가포르워싱(Singapore-washing)’에 나서고 있다. 중국 정부가 국가 안보를 이유로 데이터보호법 등 각종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 점도 업계에는 큰 부담이다. 지난해 중국이 반간첩법 개정안을 시행한 후 외국인들의 신규 투자가 급감하면서 중국 스타트업들의 자금줄 역시 말라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블룸버그통신은 1일(현지 시간) 중국 AI 스타트업들이 잇따라 본사를 중국에서 싱가포르로 이전하고 있다며 “중국과 적대 관계에 있는 미국 등 규제 당국의 조사를 피하기 위한 시도”라고 해석했다. 중국과 지리적으로 가까운 데다 친(親)기업 정책이 갖춰진 싱가포르는 과거부터 해외투자가와 고객을 유치하고자 하는 중국 기업들의 주요 행선지가 돼왔지만 최근에는 특히 AI 기업들의 유입이 가팔라지고 있다. 블룸버그는 “지난해 말 기준 1100개 이상의 글로벌 기업들이 싱가포르에 둥지를 틀었다”며 “중국 기업의 비중이 갈수록 늘어나는 추세”라고 전했다.

미국의 대중 수출통제는 중국 AI 스타트 업계에 가장 직접적인 타격이 되고 있다. 미국은 엔비디아·AMD 등 자국 주요 반도체 업체들의 첨단 칩과 제조 장비의 중국 수출을 전면 제한하고 있으며 제재 범위를 레거시(구형) 반도체까지 확대할 가능성 역시 내비치는 상황이다. 생성형 AI 열풍의 주역인 오픈AI는 이달부터 자사 모델에 대한 중국 내 접속을 차단하기로 했다. 데이터 처리에 필요한 첨단 반도체와 기술로부터의 차단은 제품의 품질 저하로 이어져 기업은 도태될 수밖에 없다. 2년 전 본사를 중국 항저우에서 싱가포르로 이전한 한 AI 스타트업 대표는 “싱가포르에서는 엔비디아의 첨단 반도체를 구매하고 최신 기술을 활용할 수 있다”며 “중국에서는 불가능했을 일”이라고 말했다.


중국 당국이 AI 기업의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데이터 활용과 관련해 규제 고삐를 죄고 있는 점 역시 기업들의 이탈을 부추긴다는 지적이 나온다. 중국 정부는 생성형 AI 서비스에 핵심 사회주의 가치를 반영하고 출시 전 관련 알고리즘을 정부에 등록할 것으로 요구하고 있다. 한 컨설팅 업체 창립자는 “AI 개발자가 중국에서는 ‘자유로운 탐색을 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며 “반면 싱가포르의 경우 AI 규제가 덜 엄격하고 (외국인의) 회사 설립도 쉬운 편”이라고 말했다.

중국의 경기 부진과 규제 강화에 따른 해외투자 자금의 급감 역시 스타트 업계에 부담으로 작용한다. 국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외국 기업과 투자가들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반간첩법 개정안이 시행 1년을 맞은 가운데 올해 1~5월 중국이 유치한 외국인직접투자(FDI)는 4125억 위안(약 78조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8.2% 줄었다. 대중 FDI는 최근 12개월 연속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일부 AI 스타트업은 당국의 자금 지원과 저금리 대출, 세금 감면 혜택으로 내수 시장에서 일찍 성공을 거뒀지만 이는 극소수에 불과하다는 설명이다.

<서울경제=정혜진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