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스톡홀름 왕립과학원 화면에 노벨 화학자 수상자 3명의 사진이 떠 있다. 왼쪽부터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프랑스계 미국인 뭉기 바웬디, 미국 컬럼비아대의 미국인 루이스 브러스, 미국 나노크리스탈 테크놀러지에 근무 중인 러시아 출신 알렉세이 에키모프. <로이터>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 화학위원회는 올해 노벨화학상 수상자로 양자점(퀀텀 도트) 발견과 합성에 기여한 문지 바웬디(62), 루이스 브루스(80), 알렉세이 예키모프(78) 등 3명을 선정했다고 4일(현지시간) 밝혔다.
노벨 화학위원회는 이날 "수상자들은 양자(퀀텀) 현상에 따라 특성이 결정될 만큼 작은 양자점을 만들어 내는 데 성공했다"며 "이들은 나노기술에 색깔을 입혔다"고 발표했다.
이어 "양자점은 향후 휠 수 있는 전자기기, 초소형 센서, 초박형 태양전지, 양자 암호통신 등 여러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게 학계의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바웬디와 브루스는 각각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미국 컬럼비아대 현직 교수고 예키모프는 미국 나노크리스털 테크놀로지사 수석과학자였다.
바웬디는 프랑스, 브루스는 미국 오하이오, 예키모프는 옛 소비에트연방에서 태어났다고 외신들이 보도했다. 바웬디와 브루스는 사제 간이기도 하다. UPI통신은 이들 3명의 국적이 미국이라고 전했다.
양자점은 크기가 수∼수십㎚(나노미터·10억분의 1m)인 반도체 결정으로 원자를 수백∼수천개 정도 '뭉친' 물질이다.
양자점의 크기를 나노기술로 조절하면 가전자대와 전도대 사이의 밴드갭이 달라지고 이 사이를 오가는 전자의 움직임도 제어할 수 있다. 즉 빛을 흡수해 여기된(들뜬) 전자가 방출하는 에너지 파장(가시광선)을 원하는 대로 통제할 수 있다는 뜻이다.
원자의 구조를 바꾸지 않고 나노기술을 이용해 입자의 크기만 다르게 해도 같은 물질에서 여러 빛깔의 선명한 가시광선이 나오게 되는 셈이다.
양자점의 크기에 따라 달라지는 전기적·광학적 특성은 원색을 거의 그대로 구현하는 초고화질 디스플레이와 암과 같은 종양의 이미지를 지도처럼 정확히 그려내 수술을 돕는데 적용되고 있다.
대표적으로 양자점발광다이오드(QLED) TV가 이 양자점 효과를 상용화한 제품이다.
수상자들에게는 상금 1천100만 크로나(약 13억5천만원)가 수여된다. 상금은 연구 기여도에 따라 나눠 갖는다.
이날 노벨화학상 수상자 3명은 발표 약 4시간 전 스웨덴 언론을 통해 보도된 명단과 같다. 스웨덴 언론들은 노벨 화학위원회가 수상자 실명이 포함된 이메일을 실수로 먼저 보냈다고 보도했다.
이날 화학상을 끝으로 올해 노벨상 과학부문 수상자 발표는 모두 종료됐다. 5일엔 문학상, 6일 평화상에 이어 9일 경제학상 수상자가 발표된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