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J&J 백신, 델타 변이엔 덜 효과적”

2021-07-22 (목) 12:00:00
크게 작게

▶ 뉴욕대 연구진 비교연구 “추가접종 필요할 수도”

존슨&존슨(J&J)의 코로나19 백신이 델타 변이나 람다 변이를 막는 게 원형 바이러스보다는 덜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다.

NYT에 따르면 뉴욕대 그로스먼 의과대학 너새니얼 랜도 박사 연구진은 두 차례 mRNA(메신저리보핵산) 백신을 맞아 면역이 형성된 17명의 혈액 표본을 J&J의 J&J 백신을 한 차례 맞은 10명과 비교했다.

그 결과 화이자·바이오엔테크와 모더나가 개발한 mRNA 백신은 베타, 델타, 델타플러스, 람다 변이에 대한 항체를 “보통” 수준으로 생성했으나, J&J 백신은 이런 변이들에 대한 항체의 중화 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J&J 백신과 기전이 비슷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의 경우 한 차례 접종시 델타 변이에 의한 증상 발현을 막는데 33% 정도의 효력이 있다는 기존 연구결과와 일치하는 것이라고 NYT는 전했다.

이번 연구는 J&J가 최근 발표한 연구 결과와는 어긋나는 것으로 평가된다.

앞서 J&J는 지난 1일 보도자료를 내고 제약부문 자회사인 J&J의 백신이 델타 변이 등 다양한 변이들에 강력한 예방효과를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한 바 있다.

이번 연구를 주도한 랜도 박사는 1회 접종으로 끝나는 J&J 백신 역시 효력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다른 백신들처럼 2회차 접종이나 부스터샷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그는 “우리의 메시지는 J&J 백신을 맞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 아니라, 향후에 J&J 백신을 추가 접종하거나 화이자 또는 모더나로 효력이 증대될 것이라는 점”이라고 강조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