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새로운 ‘가나안 문자’ 추정 글자 발견

2021-04-16 (금) 12:00:00
크게 작게

▶ 3,500년전 토기에서

지난 2018년 이스라엘 예루살렘 남서쪽에 위치한 라키시. 기원전 3,000년경부터 사람이 살았던 유적이 있고 기원전 1,500년 경에는 유대 왕국 이전의 가나안 문화가 번성했던 것으로 알려진 이곳을 발굴하던 오스트리아 발굴팀은 세로 4㎝, 가로 3.5㎝의 작은 토기 파편들을 발견했다.

이 토기 파편에는 이전에 보지 못했던 문자들이 적혀 있었다. 인근 지역에서 사용되던 상형문자나 설형문자에 가까운 원시 가나안 문자와는 차원이 달랐다. 연대 측정 결과 이 토기는 후기 청동기가 시작된 기원전 1,450년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이 연대측정 결과를 토대로 토기에 적힌 문자가 알파벳 진화의 ‘잃어버린 고리’에 해당하는 원시 가나안 문자일 것으로 추정하게 됐다.


오스트리아 과학아카데미 고고학연구소의 펠릭스 호플마이어 연구원은 15일(현지시간) 이스라엘 일간 하레츠에 “이 문자는 이집트와 시나이반도에서 발견된 글자들과 이후 가나안에서 발견된 문자들과의 역사적 연결고리를 제공한다”는 견해를 밝혔다.

또 이 원시 가나안 글자들은 이후 철기시대 레반트(현재의 팔레스타인,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지역) 사람들의 문자 체계로 발전했고, 고대 이스라엘 사람들이 이를 이용해 히브리어 성서를 기록했으며, 페니키아 버전의 문자는 상인들을 통해 지중해 인근 국가인 그리스와 로마로 퍼져나가 결국 현재의 라틴어 알파벳이 되었을 것이라고 그는 추정했다.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