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글로벌 이슈] ‘신장 인권탄압’ 반박하는 중국의 내로남불 3가지

2021-03-31 (수) 12:00:00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크게 작게

▶ 유엔과 현장조사 협의했지만 강제노동 부인·잣대 제멋대로

[글로벌 이슈] ‘신장 인권탄압’ 반박하는 중국의 내로남불 3가지

지난 25일 터키 이스탄불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 방문에 항의하는 시위가 열리고 있다. [로이터]

“신장의 문은 열려 있다. 언제든지 와서 확인해보라.”

자오리젠 중국 외교부 대변인의 말이다. 중국이 자신만만하다. 보복제재와 불매운동으로 서구에 맞서면서 “신장위구르 인권 탄압과 강제노동은 거짓 소문”이라며 반박하고 있다. 하지만 중국의 주장을 곧이곧대로 믿긴 어려워 보인다. 말을 바꾸고 현장을 감춰 오히려 의혹과 논란을 키우고 있기 때문이다.

■ ‘제한없는’ 방문 보장에 부정적


유엔은 인권고등판무관의 신장지역 현지조사를 중국과 협의하고 있다. 조사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이 내건 조건은 ‘제한 없이’ 둘러보는 것이다.

그런데 중국은 유럽연합(EU)이 요청한 인권 관련 수감자 면회를 거부하며 벌써부터 단서를 달았다. 마오쥔샹 중국 중난대 인권연구센터 주임은 “무제한으로 신장지역에 접근한다는 건 중국과 유엔의 협력을 약화시키려는 정치 조작”이라고 주장했다.

■ “유죄추정 말라” 정치조작 엄포

중국은 특히 “적대감을 가진 사람은 신장에 갈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인권 탄압을 기정 사실화하는 ‘유죄 추정’에 반기를 든 셈이다. 또 신장 인권 문제를 “미국의 자작극에 서구가 가세한 것”이라며 비판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사회의 합리적 의심은 여전하다. 미국은 최대 100만 명의 위구르족과 소수민족 무슬림이 수용소에 갇혀 강제노동에 시달리는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200만 명으로 추정한다. 중국이 명쾌하게 답해야 할 부분이다.

■면화 생산 ‘기계화’ 비율 널뛰기

중국이 신장지역 강제노동을 부인하며 내세운 근거 중 하나는 기계화 비율이다. 주로 기계를 사용해 면화를 생산하기 때문에 주민을 동원하거나 탄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설명이 오락가락하면서 신빙성이 떨어지고 있다. 중국 외교부와 신장위구르자치구 등 당국의 발표가 불과 나흘 사이에 기계화 비율이 40%에서 70%까지 2배 가까이 차이가 나고 있기 때문이다.

<베이징=김광수 특파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