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일보

오늘 하루 이 창 열지 않음닫기

‘불면증’ 착각해 수면제 먹으면 증상 악화

2020-03-03 (화) 임웅재 기자
크게 작게

▶ 사망률 높이는 수면무호흡증
하룻밤에 수십~수백번 기도 막혀, 산소 공급 안돼 심장 혈관에 부담…뇌경색 심근경색증 발생 많아

▶ 수면다원검사로 정확한 진단 받고 기도양압기·수술 등 맞춤 치료해야

‘불면증’ 착각해 수면제 먹으면 증상 악화

이향운 이대목동병원 수면센터장(신경과 교수)이 수면다원검사 전문기사와 함께 수면무호흡 환자에 대한 검사 결과를 검토하고 있다. [사진제공=이대목동병원]

‘불면증’ 착각해 수면제 먹으면 증상 악화


“수면무호흡증을 치료하지 않으면 심장·혈관 등에 큰 부담을 주고 각종 장기에 저산소증을 초래해 뇌경색·심혈관질환·치매·돌연사 위험을 높입니다. 수면다원검사를 통해 제대로 진단받고 기도(氣道)양압기 치료나 구강 내 장치, 약물치료, 이비인후과·치과 수술 등 맞춤형 치료를 받아야 잠도 잘 자고 합병증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향운 이대목동병원 수면센터장(신경과 교수)은 “지난 2015년 2만9,000명 수준이던 우리나라 수면무호흡증 진료인원이 수면다원검사에 대한 건강보험 적용으로 지난해 8만4,000명으로 급증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수면다원검사는 병원에서 하룻밤을 자면서 뇌파·근전도·호흡·심전도 등을 측정한다. 시간당 무호흡·저호흡이 몇 회나 되는지, 중증도는 얼마나 되는지 판단할 수 있다. 기면증(낮에 과도하게 졸리고 잠이 들거나 깰 때 환각·수면마비 같은 증상을 보임) 등 다른 수면 질환이나 부정맥(불규칙한 심박동) 진단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이 센터장은 자가진단·처방의 위험성도 경계했다. 그는 “환자 스스로 불면증이라고 생각해 수면제 등 약부터 먹는 분이 있는데 수면다원검사를 해보면 5분 안에 잠이 들지만 수면무호흡증 때문에 깊은 잠을 못 이루고 자꾸 깨는 분들이 적지 않다”며 “수면제는 호흡 근육을 느슨하게 해 수면무호흡증을 악화시킨다”고 했다.

◇습관성 코골이 70%가 수면무호흡증= 잠을 자면 목 안의 근육에 힘이 빠지면서 숨을 들이쉴 때 좁아진 기도로 공기가 빠르게 통과하면서 진동(코골이)을 만들어낸다. 기도가 더욱 좁아져 공기가 통과하지 못하면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이라고 한다. 인구의 3~5%에서 발생한다.

코골이는 주로 남성에게서 많이 생기며 여성의 경우 폐경 이후에 증가한다. 30~35세 남성의 20%, 여성의 5%, 60세 이상 남성의 60%, 여성의 40%에서 코골이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만인 경우 그 비율이 3배 정도 증가한다.

습관성 코골이가 있는 사람은 수면무호흡증이 함께 있을 가능성이 70%나 된다. 수면무호흡증은 코골이나 주간졸림 등의 증상이 있고 시간당 무호흡·저호흡 수와 숨을 쉬기 위해 깨는 각성의 합이 △5회 이상(회당 10초 이상)이고 고혈압·심근경색·뇌졸중 등 합병증이 있거나 △15회 이상이면 진단할 수 있다. 이런 조건을 충족하면 병원에서 하룻밤 잠을 자면서 하는 수면다원검사에 건강보험이 적용된다.

◇중증인데 치료 안 하면 사망률 3배 증가= 코골이와 수면무호흡증은 편도와 아데노이드가 커지는 만 3세부터 증가해 사춘기 이후 줄어드나 남성은 중년부터, 여성은 폐경 후 증가한다. 수면무호흡증은 정도에 따라 건강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데 심한 경우 치료하지 않으면 치료를 잘 받은 사람에 비해 사망률이 약 3배 이상 증가한다. 또 고혈압·뇌졸중·심장병·당뇨 등 합병증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킬 수 있다. 숨이 멎었을 때 온몸에 산소 공급이 부족해져 저산소증에 시달리고 숨을 쉬기 위해 자꾸 잠에서 깨면서 다시 숨을 쉴 때 심장·혈관에 충격을 준다. 이런 현상이 하루 수십~수백 번씩 장기간 지속되면 전신 합병증을 피할 수 없게 된다. 당장은 피곤하고 졸리고 우울하며 의욕이 떨어지고 집중하기 어려워진다.

이대목동병원 수면센터는 수면장애에 시달리는 환자들을 위해 신경과·정신건강의학과·이비인후과·두경부외과·치과 전문의가 함께 진료하는 체계를 통해 종합적이고 정확한 진단·치료를 제공해왔다.

이 센터장은 “수면장애에 수면무호흡증, 불면증, 주간졸림증, 수면 중 이상행동 등 수십 가지가 있고 원인이 매우 다양해 정확한 진단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섣불리 약을 먹는 것은 치료를 더욱 어렵게 하고 심각한 합병증을 야기할 수 있다”며 주의를 당부했다.

<임웅재 기자>

카테고리 최신기사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