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구/참치과 원장·치의학박사
요즘은 임플란트를 대부분의 치과의사들이 자신의 진료에 도입함으로써 대중화 되었다고 말할 수 있다.
오늘은 임플란트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말해볼까 한다.
임플란트는 나의 치아만 못하다는 전제를 알지 못하는 분들이 많이 있음을 본다. 아직은 신의 영역에 도달되지 못하는 것이 이유일 거라고 필자는 생각하고 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치아를 뽑고 난 직후의 상태를 보존한다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무슨 말인가?
치아를 빼고 나면 변화하는 것이 두 가지가 있다. 하나는 주변의 치아들이 이동을 한다. 반대편의 치아는 올라오거나 내려오게 되고, 옆의 치아들은 빼고 난 빈자리로 이동하게 된다. 위의 치아는 아래 치아에 비해 좀더 빠른 속도로 빈 곳을 향해 이동한다. 환자분들에게 치아를 빼고 위치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치아가 이동할 수 있다는 말을 하지만 환자분들은 기억을 정확하게는 하지 못한다. 실제로 설명을 드린 후 서명(sign)을 받아도 마찬가지 경우도 있다.
환자의 진료를 임함에 있어서 치료 범위는 되도록 작게 하려고 애쓰는 것은 필자만의 경우는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환자분들은 중간에 치아를 빼거나, 또는 신경치료(근관치료, root canal treatment 이하 신경치료) 후 근관(crown, 이하 크라운)을 하라고 하게 되면, ‘치과의사에게 당했다!’라는 생각을 하시는 것 같다.
문제는 아슬아슬한 경우일 것이다. 임플란트의 크라운을 만들려고 하면 최소 4mm의 높이를 필요로 한다. 그런데, 어금니 부위는 치아를 빼기 전에 충치나 교모(attrition) 등으로 인해 크라운 길이가 짧아져 있는 경우가 간혹 있게 된다. 그러면, 치아를 빼고 나서 잇몸이 아물거나 잇몸뼈의 상태가 약하거나 하여 기다리게 될 경우 최소로 요구되는 크라운 길이를 만족할 수 없게 된다. 그런 경우 우리 치과의사들은 반대편을 삭제하거나,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하실 것을 권한다. 그것이 구강내 상태를 좀 더 보존하는 것이다.
만일 반대로 어금니를 뺐을 때 앞의 두 치아를 삭제해서 총 3개의 연결된 형태의 브릿지(dental bridge)를 하는 경우는 어떠한가? 예전에 임플란트가 치과에 도입되기 전에는 정상적인 치과치료의 한 가지였을 것이다. 그러나 ‘지렛대 작용’을 일으키는 그러한 방식은 치과계에서 사라지고 있다.
결손된 어금니에 작용하는 씹을 때 발생하는 교합력(occlusial force)은 앞측에 걸려 있는 두 개의 치아에 강하게 작용하여 잇몸뼈가 녹는다던가, 충치가 더욱 잘 생긴다던가 하는 일이 생기고 심지어 부러지기까지 한다.
칫솔질 때 맨 뒤의 치아를 닦아서 구강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그리고, 치아를 발치하고 오랜만에 임플란트를 하고 싶다고 오는 분들이 있다. 발치를 하면 해당 잇몸뼈가 점점 녹기 시작한다.
임플란트던, 치아던 뭔가 있어야 뼈는 녹지 않는다. 즉 임플란트는 심는 순간 그 순간부터 잇몸뼈가 녹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설명을 치과의사로 부터 들을 때는 환자분들이 그런가? 라고 생각하게 되지만 그보다는 훨씬 중요한 이유를 치과의사에게 남긴다. 그 이유는 다음에 기회가 오면 설명해 보기로 한다. 문의 (626)810-0887 김성구 원장(DDS, MS, PhD)
<
김성구/참치과 원장·치의학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