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호 에바다 정신건강 클리닉
미 질병통제예방센터에 따르면 지난 15년 동안 비만 어린이와 성인의 비율이 계속적으로 늘어났다. 어린이 5명 중 한 명은 비만으로 추산되며, 주로 운동 부족과 많은 식사량이 비만의 주원인으로 꼽히고 있다.
원인들을 자세히 살펴보면. 염분 당분 지방의 함유량이 높은 냉동식품과 인스턴트 식품, 당도가 높은 음료수 등의 섭취량이 증가하였고 요즈음 아동들이 TV 컴퓨터 만화에 탐닉하게 되며, 자연 운동량 부족으로 기초 대사량을 떨어뜨려 조금만 먹어도 많이 찌게 된다. 이외에도 아동들이 조기교육 등으로 스트레스를 받으면 대부분 먹는 것으로 스트레스를 풀게 된다. 또한 부모 모두 일을 하는 분들이 많아져서 아이들과 잘 놀아주지 못하는 것에 대한 지나친 죄책감의 보상 심리로 보일 수 있는 과보호가 과식하기 쉽고, 반대로 지나친 무관심을 받는 어린이는 인스턴트 냉동식품 등을 많이 먹게 되어 비만이 되기도 한다. 유전적 원인도 매우 큰데 부모 둘 다
비만이면 자녀의 60-80%가, 부모 중 한명이 비만이면 자녀의 30-50%가, 부모 둘 다 비만이 아니면 자녀의 10%가 비만이 된다.
아동 비만을 심각하게 보는 이유는 어렸을 때 비만이었던 아동의 경우 자라면서 살이 빠지는 게 아니라 성인이 되어서도 비만아로 자랄 가능성이 매우 높다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비만으로 인하여 당뇨병, 고혈압, 심장병, 고지혈증, 수면 무호홉증, 통풍 등 여러 가지 병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비만으로 인하여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은 정서적 장애를 가지게 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만과 정서적 문제는 상호 관련성이 매우 높다.
본 병원에 오는 비만 아동들을 보면 아동이 비만이어서 활동성이 줄어들고 친구들이 비만아를 놀이에 끼어주지 않고 외톨이를 만들어 버리는 등으로 인하여 깊은 심리적 상처를 받고 우울함을 느껴서 더욱더 음식에 집착을 보여서 비만이 심각해진 경우가 있고, 다른 경우는 이와는 반대로 학업 스트레스와 친구관계 부모관계 학교 적응 문제 등으로 인하여 심각한 우울과 불안 정서적 괴로움을 어디다 풀 곳이 없어서 음식에 집착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도한 음식 섭취로 인하여 순간적으로는 만족감과 행복감 포만감을 느끼지만 이런 충족이 끝나고 나면 살이 더 찐 것에 대한 심각한 스트레스와 심리적 갈등이 증가되게 되는 것이다.
비만 아동이 보편적으로 보이는 정서는 사회적 상황에서 지나친 두려움, 우울함, 분노감이다. 사람들이 모두 자신을 싫어한다고 생각하는 피해의식과 자신의 처지에 대한 우울함으로 인하여 분노 감정이 올라오게 되고 통제를 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계속 비만으로 살아가야 하는 것에 대한 불안감도 있을 수가 있다. 교육 관계에서는 친구들과 원활하게 지내지 못하고 또래 아이들보다 자신은 열등하며 자신과 놀아주지 않는다는 잘못된 피해의식을 가지고 지내게 되어 더욱 사회적 상황을 회피하게 된다. 학업적인 문제는 집중을 잘 하지 못하고 비만으로 인한 여러 가지 합병증 등이 발생하여 학교를 원활히 출석할 수가 없는 문제들도 발생한다.
따라서 아동 비만의 경우에 부모님들이 식이조절과 운동으로 아동의 체중을 관리 해주는 것도 중요하지만 비만으로 인하여 야기될 수 있는 정서적 문제, 학업 문제, 교우문제 등을 근본적으로 상담 치료하는 것이 더욱 중요하다고 보고 이러한 점에 대해서는 전문의와 상담 전문가와 상의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